프로타아제 vs 프로테아제, 무엇이 맞을까?

프로타아제 vs 프로테아제, 무엇이 맞을까?

과학 수행평가나 생명과학 수업 시간에 ‘단백질 분해 효소’를 배울 때 어떤 친구는 ‘프로타아제’라고 하고, 또 어떤 자료에서는 ‘프로테아제’라고 쓰는 걸 볼 수 있습니다. 

 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표현이 맞는 걸까요?


✔️ 간단 정리

항목내 용
정식 명칭 (표준어)프로테아제 (Protease)
다른 표현프로타아제, 프로티아제 (모두 사용된 예 있음)
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 (단백질 분해효소)
한국어 번역단백질 분해 효소, 또는 단백질 분해 효소


📌 왜 혼동이 생겼을까?

영어 단어 protease를 한국어로 음역하는 과정에서 여러 표현이 생겼기 때문입니다.

  • Protease → 프로테아제: ✅ 가장 널리 쓰이며 표준
  • Protease → 프로타아제: ❌ 영어 발음 혼동에서 비롯된 비표준 표현
  • Protease → 프로티아제: 거의 쓰이지 않음

📚 실제 교과서 및 논문 사용 예시

자료사용된 용어
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프로테아제
대학 생화학 교재Protease 또는 프로테아제
과학 논문 번역문대부분 프로테아제
수행평가 발표/구술프로타아제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으나, 비표준

🔍 단어 분석

영어 proteaseprotein(단백질) + -ase(효소)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. 

 따라서, 올바른 한국어 표기는 ‘프로테아제’가 더 정확한 음역입니다.


✅ 결론

질 문답 변
‘프로타아제’는 틀린 말인가요?❌ 완전히 틀린 건 아니지만, 비표준 표현입니다.
공식적으로는?✅ 프로테아제 (protease)가 맞습니다.
수행평가 때
‘프로타아제’라고 써도 되나요?
가능하지만, 정확하게는
‘프로테아제’라고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수행평가 발표/구술프로타아제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으나, 비표준
다음 이전